로 끝나는 두 글자의 단어: 277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277개 세 글자:576개 네 글자:727개 다섯 글자:352개 여섯 글자 이상:543개 모든 글자:2,476개

  • : (1)무명실로 서양목처럼 너비가 넓게 짠 베. (2)‘무명’의 방언
  • : (1)‘투표’의 방언
  • : (1)자손이 부모를 봉양함.
  • : (1)고려 말기에, 몽고에 세공(歲貢)ㆍ친조(親朝)를 하기 위한 경비를 마련하려고 거두어들이던 포. (2)조선 시대에, 나라에 큰일이 있을 때 벼슬아치로부터 품계에 따라 거두어들이던 포.
  • : (1)핵폭발을 일으키는 포탄을 쏘는 포.
  • : (1)칼로 짓두드려 평평하고 둥글넓적한 모양으로 만들어 말린 고기. (2)배를 갈라 내장을 빼내고 납작하게 말린 오징어. (3)널리 폄.
  • : (1)제멋대로 굴며 몹시 난폭함.
  • : (1)매달 관청에 바치던 포목.
  • : (1)장기에서, 포를 궁 자리 옆줄로 넘어 다닐 수 있도록 끝에서 두 번째 자리에 앉힘. 또는 그렇게 앉힌 포. (2)국궁에서 쓰는 작지도 크지도 않은 무명 과녁. (3)구경(口徑) 105~155mm의 야포. (4)나라 제사 때에 쓰던, 얇게 저미어서 양념하여 말린 고기. (5)구경 155mm 이상으로 파괴력이 크고, 사정거리가 긴 야포.
  • : (1)모시나 삼으로 짠, 여름용 소재로 주로 사용되는 천.
  • : (1)말린 오징어. (2)죽은 뒤에 그 공로를 찬양함. (3)뒤쫓아 가서 잡음. (4)발이 굵고 거칠게 짠 베.
  • : (1)두꺼운 명주로 만든 솜옷. (2)조선 시대에, 삼포(三浦) 가운데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에 있던 항구.
  • : (1)천을 짤 때 일정한 길이로 재단하는 작업.
  • : (1)거래할 때, 화폐 대신 쓰던 포목. (2)일정한 시설을 갖추고 물건을 파는 곳. (3)품질이 좋지 아니한 베. (4)초상 때 쓰는 포목.
  • : (1)프랑스식 군모. 챙이 달려 있으며, 주로 나사(羅紗)로 만든다.
  • : (1)‘내숭’의 방언
  • : (1)‘쥐포’의 방언
  • : (1)두건을 만드는 베. (2)마른 헝겊이나 수건. (3)쇠고기나 생선 따위를 저며 말린 포.
  • : (1)우리나라에서 만드는 피륙을 외국산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2)씹던 음식을 뱉어 냄. (3)입에 든 것을 토함. (4)무력으로 쳐서 잡음.
  • : (1)‘전복’의 옛말.
  • : (1)잔인하고 포학함.
  • : (1)부들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높이가 1~1.5미터이며, 옆으로 뻗으면서 퍼지고 원기둥 모양이다. 잎은 가늘고 길다. 여름에 잎 사이에서 꽃줄기가 나와 노란 이삭 모양의 꽃이 육수(肉穗) 화서로 피는데 위쪽에 수꽃, 아래쪽에 암꽃이 달린다. 열매 이삭은 긴 타원형이며 붉은 갈색이다. 꽃가루는 지혈제로 쓰고, 잎과 줄기는 자리ㆍ부채 따위를 만드는 재료로 쓴다. 개울가나 연못가에서 저절로 나는데 유럽과 아시아의 온대와 난대, 지중해 연안에 분포한다.
  • : (1)기둥머리 위와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에 짜 올린 공포(栱包). 주로 조선 전기부터 많이 썼다. (2)차를 마실 때에 찻잔이나 차관 따위의 여러 기물을 올려놓는 천.
  • : (1)‘경포’의 방언
  • : (1)농사일에 경험이 많은 농부. (2)대대로 물려 내려오는 점포(店鋪). (3)쇠로 된 발사 장치가 달린 활. 여러 개의 화살을 연달아 쏘게 되어 있는 것으로, 주로 낙랑 무덤에서 나오고 있다. (4)일반에게 널리 퍼뜨림. (5)중국 문체(文體)의 하나. 봉함을 하지 않고 노출된 채로 선포하는 포고문인데, 주로 전승(戰勝)을 급히 알리는 데에 사용되었다.
  • : (1)흰 베. (2)벼슬이 없는 선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흰빛으로 부서지는 물거품. (4)말과 같은 짐승이 입에서 내는 흰 거품. (5)예전에, 주로 예복으로 겉에 입던 흰 도포.
  • : (1)‘녹포’의 북한어.
  • : (1)동물의 내분비샘 조직에서, 다수의 세포가 모여 이루어진 닫힌 주머니 모양의 구조물. 난소, 갑상샘, 뇌하수체 중간엽에서 볼 수 있다. (2)‘난폭’의 원말. (3)따뜻하게 입고 배불리 먹음. (4)난초 밭.
  • : (1)귤나무의 열매. 모양은 둥글납작하고 빛깔은 노란빛을 띤 주황빛이다. 물이 많고 맛은 새콤달콤하며, 껍질은 말려서 약재로 쓴다. (2)귤껍질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청피(靑皮)와 진피(陳皮)의 두 가지가 있는데, 성질이 따뜻하여 소화를 돕고, 기침ㆍ설사ㆍ적취(積聚) 따위에 약효가 있다.
  • : (1)논에 물꼬를 트거나 막을 때 쓰는 농기구. 두툼한 쇳조각의 머리 쪽 가운데에 괴통이 붙은 모가 진 삽으로 긴 자루를 박아 지팡이처럼 짚고 다닌다. (2)액체, 가루 따위를 흩어 뿌림. (3)금품, 전단 따위를 여러 사람에게 나누어 줌. (4)‘밭둑’의 방언 (5)어떤 표면에 가루를 뿌리는 시술. 가슴막의 유착을 촉진하기 위하여 가슴막에 뿌리는 경우가 대표적인 예이다.
  • : (1)도화선 장치를 하여 폭발시킬 수 있게 만든 다이너마이트. (2)석유를 넣은 그릇의 심지에 불을 붙이고 유리로 만든 등피를 끼운 등. (3)평안남도 서남부에 있는 항구 도시. 농업ㆍ어업ㆍ광업ㆍ공업 생산물의 집산지이다. 제련소가 있으며 광석, 시멘트, 과실, 쌀, 밀 따위를 수출한다. 우산장(牛山莊), 보림사(寶林寺), 용강 온천 따위의 명승지가 있다. 면적은 413㎢. 북한에서는 1979년 12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평안남도에서 갈라져 나왔다. (4)쪽빛 옷.
  • : (1)얇게 썬 두부를 꼬치에 꽂아 기름에 지진 다음 닭국에 넣고 끓인 음식. (2)천을 짠 후에 잿물에 담갔다가 솥에 쪄서 뽀얗게 처리한 천.
  • : (1)조선 시대에, 중국 청나라에 가는 사신이 여비로 쓰기 위하여 가져갈 수 있도록 허용한 인삼 여덟 꾸러미. 가져간 인삼을 중국 돈으로 바꾸어 썼는데, 숙종 때부터는 그 값에 해당하는 은을 대신 가져갔다.
  • : (1)시장에서 산 말린 고기. (2)프로 야구에서, 경기의 시작을 상징적으로 알리기 위하여 투수가 던진 공을 처음으로 받는 행위.
  • : (1)기계나 베틀 따위로 천을 짜는 일.
  • : (1)겁이 나서 두려워함.
  • : (1)삼 껍질에서 뽑아낸 가는 실로 곱게 짠 베. (2)생물체를 이루는 기본 단위. 핵막의 유무에 따라 진핵 세포와 원핵 세포로 나뉜다. (3)정당이나 단체의 기반이 되는 조직. 특히 공산당의 말단 조직을 뜻한다. (4)조세로 바치던 천. (5)예전에, 궁궐에서 설날에 재앙의 잡귀를 쫓는다 하여 대포를 쏘던 일.
  • : (1)어떠한 것을 두려워함.
  • : (1)혀 밑에 생기는 조롱박 모양의 종기. 커지면 국소에 통증과 마비가 오고 음식을 먹을 때나 말할 때 장애가 된다.
  • : (1)경기도 서부, 한강 하구에 있는 시. 김포평야에서 나는 김포 쌀이 유명하며, 채소 따위의 근교 농업이 활발하다. 문수산성(文殊山城), 장릉(章陵), 약사암 따위의 명승지가 있다. 면적은 276.64㎢.
  • : (1)은어로, ‘돈’을 이르는 말. (2)야전에서 주로 쓰는 야전 유탄포나 산포(山砲) 따위의 대포.
  • : (1)가을걷이한 곡식을 논밭에서 끌어냄. (2)죄인을 관할 구역 밖으로 쫓아가서 잡음. (3)화물을 배편으로 실어 나르려고 포구(浦口)로 냄.
  • : (1)삼으로 짠 거친 천. (2)모시풀 껍질의 섬유로 짠 피륙. 베보다 곱고 빛깔이 희며 여름 옷감으로 많이 쓰인다. (3)백제 때에 있었던 놀이의 하나. 주사위 같은 것을 나무로 만들어 던져서 그 끗수로 승부를 겨루는 것으로, 윷놀이와 비슷하다.
  • : (1)‘들보’의 방언
  • : (1)예전에, 구식 보총(步銃)을 이르던 말.
  • : (1)‘개’의 방언 (2)강이나 개울가에 펼쳐 있는 밭. (3)벌이 위로 올라오지 못하도록 벌통의 안을 덮는 천. 주로 두꺼운 광목이나 마대, 담요로 만들며, 여름에는 모기장을 활용하여 만든다.
  • : (1)‘우표’의 방언
  • : (1)신역(身役)을 대신하여 장정에게서 군포를 거두어들이던 일. (2)카친족이 스스로를 이르는 말.
  • : (1)천을 감음.
  • : (1)장기의 차(車)와 포(包)를 아울러 이르는 말. (2)‘차표’의 방언
  • : (1)화약을 종이나 대통 같은 것의 속에 싸 넣고 그 끝에 심지를 달아 불을 댕겨 터지게 만든 놀이 기구. 큰 소리가 나게 하거나 불꽃이 퍼지게 하는 등 여러 종류가 있다. (2)각 군의 본부에서 군수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참모 부서. (3)사단급 부대에 둔, 군수 참모처의 우두머리. (4)‘쥐포’의 방언
  • : (1)‘거푸’의 방언 (2)칡 섬유로 짠 베. (3)거친 칡베로 지은 도포.
  • : (1)관아에서 만든 포육(脯肉). (2)머리에 쓰는 관과 몸에 걸치는 옷을 아울러 이르는 말. (3)면류관과 곤룡포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1)써 버린 관금(官金)을 보충하던 일. (2)경마로 짠 직물. 일본에서 생산되며 가늘고 질기다.
  • : (1)푸줏간 영업을 걷어치워 그만둠. (2)체포의 명령을 취소함. (3)대포나 소총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이포’의 북한어. (2)마지막으로 넣은 데이터를 맨 처음에 꺼낼 수 있는 장치. 후입 선출 방식을 실현하는 데이터 구조는 스택이다. 후입 선출 방식에서 데이터를 넣는 조작을 푸시, 꺼내는 조작을 팝이라고 한다.
  • : (1)돈을 받고 빌려주는 가게.
  • : (1)무당들이 쓰는 발이 굵은 베.
  • : (1)조선 시대에, 밤마다 순장과 감군이 맡은 구역 안을 인정(人定)부터 파루(罷漏)까지 돌아다니며 통행을 감독하던 일.
  • : (1)큰 대포. (2)배구ㆍ핸드볼ㆍ야구 따위에서, 뛰어난 공격수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벼슬아치가 큰 액수의 공금을 사사로이 쓰던 일. (4)체포되기를 거부함. (5)시신을 드는 데 쓰는 베. 시신의 겨드랑이를 감싸서 들며, 3~4자 정도의 길이가 적당하다.
  • : (1)‘거푸’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포’로도 적는다.
  • : (1)머리나 처음을 이르는 말.
  • : (1)따뜻하게 입고 배부르게 먹는다는 뜻으로, 생활에 아쉬움이 없이 넉넉함을 이르는 말. (2)묵은 솜을 둔 도포. (3)가슴속에 재주나 포부를 깊이 품음. 또는 그 재주나 포부.
  • : (1)고기나 생선을 얇게 떠서 말린 것.
  • : (1)고압 펌프에서 보내는 높은 압력의 물을 포신(砲身)이나 노즐을 통하여 뿜는 기계.
  • : (1)파초의 섬유로 짠, 날이 굵은 베. (2)손바닥, 발바닥, 손가락의 표피 내에 쌀알만 한 크기로 작은 수포가 생기는 질환. 보통 가려움증이 동반되지만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국소 땀 과다증과 동반되기도 한다.
  • : (1)농게의 살을 뽑아서 말린 포.
  • : (1)쌀을 담는 부대. (2)쌀과 천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1)질이 흉악하고 포악함.
  • : (1)함부로 사납게 굶. 또는 그런 짓. (2)살구를 설탕물에 졸여 만든 과자. (3)‘향포’의 방언
  • : (1)‘김만중’의 호. (2)책을 갖추어 놓고 팔거나 사는 가게. (3)‘곁방’의 방언
  • : (1)‘태반’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 : (1)농가에서 거름으로 쓸 재를 담는 그릇. (2)마음속에 품은 생각이나 정(情).
  • : (1)비단을 여러 겹으로 겹치어 짠 천. (2)삼한 시대에 견사와 마사를 엮어서 세밀하게 짠 교직물.
  • : (1)도망하여 숨음. (2)그물을 쳐서 물고기, 새, 짐승 따위를 잡음. (3)임금이 입던 정복. 누런빛이나 붉은빛의 비단으로 지었으며, 가슴과 등과 어깨에 용의 무늬를 수놓았다.
  • : (1)건물의 바깥쪽에 짠 공포(栱包). (2)몹시 두려워함. (3)대뇌 반구에서 렌즈핵의 바깥 면을 덮는 얇은 백색질 판.
  • : (1)장기에서, 연속적인 공격 위치에 있는 두 포. (2)나란히 설치한 두 개의 포.
  • : (1)대의 섬유로 짠 천. 대를 오랫동안 물에 담가 썩힌 뒤에 잘게 켜서 만든다.
  • : (1)‘집포’의 원말.
  • : (1)‘요포’의 북한어.
  • : (1)목재의 면을 평면으로 깎는 데 쓰는 대패. (2)평평하게 폄. (3)고려 시대에, 현물 화폐로 사용한 베. 일반 등급의 마포(麻布)가 화폐를 대신하거나 세금 징수의 기준이 되었다.
  • : (1)사나운 짐승이 울부짖음. 또는 그 울부짖는 소리.
  • : (1)일본 에도 시대 닌코(仁孝) 천황 때의 연호(1831~1845).
  • : (1)‘해포’의 옛말.
  • : (1)널리 알림. (2)붉은 빛깔의 옷감. (3)임금이 신하들과 하례할 때 입던 예복. 빛이 붉고 모양은 관복과 같았다. (4)조선 시대에, 삼품 이상의 벼슬아치가 입던 붉은색의 예복이나 도포.
  • : (1)오랫동안 품고 있던 생각. (2)빛깔이 흰 삼베. 누런 삼베를 양잿물로 표백하여 만든다.
  • : (1)‘혼포하다’의 어근.
  • : (1)위엄과 두려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위트림’의 전 용어. (3)‘위대포의’를 줄여 이르는 말.
  • : (1)유리질 현무암이나 일부 유문암 속에 생긴 공 모양의 중공체나 기포.
  • : (1)꼬불꼬불한 갯벌.
  • : (1)축하하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쏘는 공포(空砲).
  • : (1)쇠고기를 파는 가게. (2)예전에, 지방의 세도가에게 쇠고기를 대어 주던 푸줏간.
  • : (1)군대에서 장례식을 할 때, 조의를 나타내는 뜻으로 쏘는 예포. 죽은 이의 관직에 따라 발포의 수가 다르다. (2)벼를 담는 데 쓰는 포대. 짚으로 날을 촘촘히 속으로 넣고 결어 만든다. (3)함경북도에서 나는 베의 하나. 너비는 좁고 바탕은 두껍고 촘촘하게 짠다. (4)조선 시대에, 봉상시에서 나라 제향에 쓰려고 크게 만든 편포(片脯). (5)거칠고 성기게 짠 베. (6)‘조포하다’의 어근. (7)아침과 저녁을 아울러 이르는 말. (8)‘조포하다’의 어근. (9)‘두부’의 방언
  • : (1)장기에서, 포(包)를 궁(宮) 앞에 놓는 일. 또는 그렇게 놓은 포. (2)목화솜으로 만든 실로 짠 천. (3)개화기 때에, ‘빵’을 이르던 말. 중국에서 만든 단어를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것이다.
  • : (1)쫓아가서 잡음.
  • : (1)명주실로 짠 광택이 나는 천을 통틀어 이르는 말. (2)비단과 무명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1)생체의 조직 안에 있는 주머니. 조직 안의 내벽 속에 있고 그 속에는 내용물이 들어 있다.
  • : (1)조선 시대에, 속죄(贖罪)와 속량(贖良)을 받으려고 대가로 베를 바치던 일. 또는 그 베.
  • : (1)변(籩)에 담는 제물 가운데 사슴 고기로 만든 포(脯). (2)조선 시대에, 칠품ㆍ팔품ㆍ구품의 벼슬아치 및 향리들이 공복(公服)으로 입던 녹색의 도포.
  • : (1)‘염포’의 북한어.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9개) : 파, 팍, 팎, 판, 팔, 팝, 팟, 팡, 팣, 팤, 팥, 패, 팩, 팬, 팸, 팽, 퍄, 퍅, 퍼, 퍽, 펀, 펄, 펌, 펏, 펑, 펕, 페, 펙, 펜, 펨, 펭, 편, 폄, 평, 폐, 포, 폭, 폰, 폴, 폼, 폽, 폿, 퐁, 퐃, 퐄, 퐅, 푀, 푄, 표, 푱, 푸, 푹, 푼, 풀, 품, 풋, 풍, 퓸, 퓽, 프, 플, 픤, 피, 픽, 핀, 필, 핌, 핍, 핑

실전 끝말 잇기

포로 시작하는 단어 (2,925개) : 포, 포가, 포가라, 포가리, 포가 받침, 포가이다, 포가지, 포가차로, 포가티 색전 제거 카테터, 포가히다, 포간, 포간 열개, 포간하다, 포감, 포갑, 포갑되다, 포갑지, 포갑하다, 포강, 포개놓기법, 포개다, 포개이, 포개입다, 포개지다, 포객, 포객질, 포갤꽁짓점, 포갤점, 포갬, 포갬포갬 ...
포로 시작하는 단어는 2,925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포로 끝나는 두 글자 단어는 277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